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칼럼

‘미역’ 산후조리의 필수 식품

미역은 갈조식물문 미역과의 해조류로서 여름부터 한여름에는 고사(枯死)하는 1년생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서식하므로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즐겨 먹고 있다.

수산물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날로 늘어가고 있지만 해조류를 먹는 나라는 의외로 그렇게 많지는 않다. 미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연안국가에서만 식용으로 이용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그저 바다에서 나는 잡초로만 여기고 있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도 중량으로 환산하면 미역과 김 등 해조류가 가장 생산량이 많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산후와 생일날 하면 으레 미역국이 연상되리 만치 미역과 우리 민족은 친숙한 사이다.

산모가 산후(産後)에 미역국을 먹는 풍습은 고려시대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당나라의 유서(類書)인 ‘초학기(初學記)’라는 문헌은 ‘고래가 새끼를 낳고 입은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미역을 뜯어먹고 산후의 상처를 낫게 하는 것을 본 고려 사람들이 산모에게 미역국을 먹이기 시작했다’는 기록을 전한다.

또한, 조선시대 여성들의 풍습을 기록한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라는 문헌은 ‘산모가 첫 국밥을 먹기 전에 산모 방의 남서쪽을 깨끗이 치운 뒤 쌀밥과 미역국을 세 그릇씩 장만해 삼신(三神)상을 차려 바쳤는데 여기에 놓았던 밥과 국을 반드시 산모가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풍습은 지금까지도 전해져 내려오는데 즉, 산모가 아기를 낳은 후에는 자극성 있는 조미료나 딱딱한 음식은 금하고 반드시 미역국과 흰 쌀밥을 먹이고 있다. 또한, 산모에게 먹일 미역은 값을 깎지 않고 미역 오리를 꺾지 않고 주는 풍습도 있다. 값을 깎으면 태어날 아기의 수명이나 복이 깎이고, 꺾어서 주면 난산을 한다는 속설 때문이었다.

미역이 다른 육상 식물들과 다른 점은 점절성 다당류인 알긴산과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중금속과 오염물질을 체외로 배출하는 특성이 있고, 인체의 골격과 치아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칼슘과 정신을 안정시키는 칼륨과 암 발생을 억제하는 셀레늄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해채(海菜), 감곽(甘藿), 자채(紫菜), 해조(海潮)등의 이름으로도 불리는 미역은 민간요법에서는 산후 선약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미역국이 산후조리에 필수식품이 되고 나서는 해산달이 가까워지면 가정에서는 미리 미역을 구입해 놓는 것이 필수적인 일이 되었다, 미역국은 특히 칼슘과 요오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칼슘은 골격과 치아 형성에 필요 성분이고 산후의 자궁 수축과 지혈 작용을 돕는다.

또한,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성분이므로 신진대사가 왕성한 산모에게는 더없이 좋은 식품이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산모는 출산 후 늘어난 자궁 수축과 지혈작용과 피를 맑게하는 청혈작용을 위하여 반드시 세이레(21일간) 동안은 미역국을 먹고 산후에 부작용으로 생기는 변비외 비만을 예방하고, 빼앗긴 철분과 칼슘을 보충한다.

미역이 우리나라 전 연안 바닷가에서 자생하고 있지만 가격은 천차만별이나 청정하고 깨끗한 해역에서 자라는 자연산 돌미역이 가장 비싸게 팔리고 있다.

경남 도내에도 남해 손도산 미역과 거제 칠천도산 미역이 지역특산물로 알려져 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양쪽의 미역 모종을 구하여 인공종묘생산을 통하여 명품미역 생산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세간에서는 시험에 떨어지거나 계획했던 일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흔히 쓰는 말이 미역국 먹었다는 표현도 미역의 점질성 성분 때문으로 짐작된다. 미역은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산모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든 훌륭한 건강식품이다.

(칼럼)박경대-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장_택수정

‘미역’ 산후조리의 필수 식품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미역’ 산후조리의 필수 식품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TOP